저압 고압 특 고압 | [법규개정] 전압체계가 바뀝니다. 13552 좋은 평가 이 답변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저압 고압 특 고압 – [법규개정] 전압체계가 바뀝니다.“?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ppa.khunganhtreotuong.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khunganhtreotuong.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전병칠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82,608회 및 좋아요 1,163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Table of Contents

저압 고압 특 고압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법규개정] 전압체계가 바뀝니다. – 저압 고압 특 고압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안녕하세요, 다산에듀 전병칠원장입니다.
2021년 1월 1일부터 기존의 전기설비기술기준이 한국전기설비규정으로 대체됩니다.
이에, 기존의 전압체계도 바뀌게 되는데요, 오늘은 그 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여러분께 도움이 되는 소중한 시간이길 바랍니다.
전병칠 드림.

저압 고압 특 고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2021년에 바뀌는 저압, 고압, 특고압 기준 with 한국전기설비 …

기존의 저압 기준은 직류 750v, 교류는 600v다. 여까지는 저압이고 이 이상을 넘으면 고압이였다. 고압과 특고압의 구분 기준은 7kv이다.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aldkzm.tistory.com

Date Published: 3/19/2022

View: 5129

2021년~ 전압 변경된 기준 (저압, 고압, 특고압)

그냥 직류는 1500V이하 교류는 1000V이하인것만 알고 있으면 이게 저압 그렇다면 고압은 저압기준의 초과부터 7000V이하까지 특고압은 그냥 7000V초과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juwonking.tistory.com

Date Published: 10/25/2021

View: 5064

전압 저압 고압 특고압 2021년 전기사업법 개정 전압에 … – 한갑부

전압 저압 고압 특고압 암기법 이런건 한번 보면 외우지 않나요? 직류는 다이렉트니까 다 – 다섯 – 1.5 교류는 걸과 보이가 교류하면 하나되니까 – 1 …

+ 여기에 표시

Source: hangabbu.tistory.com

Date Published: 2/26/2022

View: 3141

학습자료실 – 전기전자과 – 서영대학교

현재까지 우리는 1974년에 편성된 전압 체계를 계속 사용해왔습니다. 저압 DC 750V 이하/ AC 600V 이하, 고압 DC 750V 초과 7,000V 이하/ AC 600V 초과 7,000V 이하, 특 …

+ 더 읽기

Source: www.seoyeong.ac.kr

Date Published: 11/13/2021

View: 4963

저압 고압 특 고압 | 2021년부터 전압이 바뀝니다 59 개의 …

저압 고압 특 고압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2021년에 바뀌는 저압, 고압, 특고압 기준 with 한국전기설비 …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ppa.covadoc.vn

Date Published: 9/7/2022

View: 5738

우리나라 저압·고압·특고압 전압 범위 변경의 역사 – KoreaScience

따라서 지금 우리가 알고 있는 저압, 고압, 특고압(그. 당시는 특별고압)의 전압 체계는 1962년 ‘전기공작물규정’ 제. 3조에 처음으로 규정하였으며, 저압의 범위는 교류 …

See also  Człowiek Wobec Cierpienia Innych Klucz Odpowiedzi | Postawa Człowieka Wobec Boga. Omów Zagadnienie Na Podstawie Znanych Ci Fragmentów Księgi Hioba. 21463 좋은 평가 이 답변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koreascience.or.kr

Date Published: 1/9/2022

View: 3493

전압체계 44년만에 개편…”저압 범위 확대로 신재생 확산”

이에 따라 고압 범위는 현행 DC 750V 초과 7천V 이하, AC 600V 초과 7천V 이하에서 각각 DC 1천500V 초과 7천V 이하, AC 1천V 초과 7천V 이하로 각각 조정 …

+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클릭하십시오

Source: www.yna.co.kr

Date Published: 11/29/2021

View: 4785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저압 고압 특 고압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법규개정] 전압체계가 바뀝니다..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법규개정] 전압체계가 바뀝니다.
[법규개정] 전압체계가 바뀝니다.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저압 고압 특 고압

  • Author: 전병칠
  • Views: 조회수 82,608회
  • Likes: 좋아요 1,163개
  • Date Published: 2020. 7. 23.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9bC3OmO61Bs

2021년에 바뀌는 저압, 고압, 특고압 기준 with 한국전기설비규정(KEC, Korea Electro-technical Code)

300×250

반응형

728×170

SMALL

일전에도 이야기 했지만 전기기술기준이라는 명칭이 한국전기설비규정(KEC)로 바뀐다. 이와 더불어,

저압, 고압, 특고압 기준도 바뀐다.

기존의 저압 기준은 직류 750v, 교류는 600v다. 여까지는 저압이고 이 이상을 넘으면 고압이였다. 고압과 특고압의 구분 기준은 7kv이다. 7kv 넘으면 특고압이고 7kv면 고압이고.

그럼 2021년 1월 1일부터는 어떻게 바뀔까?

이렇게 저압기준이 바뀐다. 직류 1500v까지는 저압, 교류는 1000v까지는 저압~

나머지 고압, 특고압 기준은 같고.

이게 중요한 문제인가요??? 왜 이렇게 바뀌죠?

뭐 이렇단다, 요약하자면, 우리도 이제 세계적으로 좀 놀기 위해 용량 좀 늘리고 어이 예전 일본 잔재들도 좀 없애고 어이~, 뭐 그렇단다. 사실, 필자도 전기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을 읽으면서 앞 뒤 말도 안 되는게 많고 현장에 부적합하다고 생각 되는게 많았지만 꾸역 꾸역 외웠던 기억이 난다.

혹시 이 거 모르고 이전 책 들고가서 괜히 전기기사 치는데 낭패보지마라는 의미도 있지만,

태양광 휀스(울타리) 기준이 바뀐다.

발전소의 경우 고압 일 때 2m 울타리를 쳐야 하는데, 기존은 과전압이 750v만 넘으면 울타리를 쳤지만 내년에 건설하는 발전소는 1500v까지는 안 쳐도 된다는 것이다. 보자… 500kw도 700언저리니… 거진 넘어 갈 일이 없다.

이 것말고도 바뀐 규정이 뭐 있냐면, 수력발전소 명시화 했다는 거 하고, 이제 전선 색깔을 분명하게 못 박았다는거!

뭐 이전 규정에도 있었던 거지만, 거의 아무도 안 지키는 거였다. 이번에 공시한다고 지킬란지는 모르겠으나 우선 이렇게 바뀌는 것을 알려주겠다.

2020/12/06 – [잡’s생각/신재생에너지 & 전기] – 배전반(함), 수배전반, 전기실 등 등 됐고! 삼상과 단상이 뭐야?

보통 중성선으로 흰색을 많이 사용하던데… 이제는 청색이라고 하니… 앞으로 많이 헷갈리겠다.

근디, 태양광에 한해서는 고압 저압 기준이 안 바뀐다네…

산자부에서는 kec를 쓰던 기존의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을 적용하든 하나만 적용하라고 하는데,

해서 저압, 고압 기준을 적용 할려고 하니 전기안전공단에서 이 부분은 기존 그대로 750, 600을 기준으로 삼으라고 하네…

뭐 어쩌라고!!!!

이외에도 바뀐 것이 있다면,

2018/07/12 – [잡’s생각/신재생에너지 & 전기] – 신재생에너지발전설비기사도 전기경력수첩 발급합니다.

이제 전기경력수첩은 버리… 는 것은 아니지만 안 들고 다녀도 된다는거~

뭐 이제 2년간 병행해서 사용한다고 하니… 굳이 버릴 필요는 없지만…

내꺼는 요거

재차 말하지만 내년에는 왠만하면 태양광 발전소에 펜슬 필요없으니까,

펜슬 값 내놔라 하는 사람 손 목아지를… 그런데 이미 지은 것은 어떻게 하지…

반응형

그리드형

LIST

2021년~ 전압 변경된 기준 (저압, 고압, 특고압)

728×90

반응형

2021년~ 전압 변경된 기준 (저압, 고압, 특고압)

2021년은 전기기준에 대해서 많은 추가 및 삭제되는 변환점이 었는데요

그러다보니 시험을 준비하는 사람들에게는 많은 햇갈림이 있었습니다.

그중 전기전압의 기준에서 수치가 변경되면서 아주 쉬운 부분이지만 기존의 기출문제를 볼때 문제가 있었습니다.

2022년에도 저압,고압,특고압의 기준에 대한 기출문제는 2020년까지의 기출에 있는 문제는 pass 하면 됩니다.

쉽게 암기하는 방법은

교류AC만 암기를 하는 방법입니다.

우선 교류AC는 일상에서 가장 가까운 부분이고 좀더 위험하다고 볼수 있기때문에 라고 외웁니다.

교류의 저압은 1000V까지 입니다.

교류의 고압은 1001V부터라고 외우는데요(1000V 초과라고 외우는게 헷갈릴수 있어서…1001V라고 외우면 덜 헷갈립니다.

1001~7000V까지를 고압이고,

특고압은 7001V (7000V초과는 무조건 이라고 보면 됩니다.)

그리고 직류는 1000V에 +500V를 하여 1500V라고 바꾸기만 하면 됩니다.

가장 순간순간 헷갈리는건 초과와 이하이니 이점을 1로 기준하여 암기해두면 까먹을일이 없습니다.

아래에 마지막으로 정리한 내용을 보시고 이해 암기를 하면 까먹을 일이 없습니다.

728×90

반응형

전압 저압 고압 특고압 2021년 전기사업법 개정 전압에 다치 니까 5 7

전압 저압 고압 특고압 암기법

이런건 한번 보면 외우지 않나요?

직류는 다이렉트니까 다 – 다섯 – 1.5

교류는 걸과 보이가 교류하면 하나되니까 – 1

특고압에 데이면 다치니까 치 – 칠 – 7

결론 전기 전압에 다쳐니까 1.5 – 7

이하 초과 단위는 KV로 짧게

ⓒ 픽사베이 ⓒ 김장엽 제작 ⓒ 김장엽 제작 여러분은 저압과 고압의 경계에 대해 알고 계신가요? 몇 볼트 정도는 돼야 고압일까요? 오늘은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전기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안에 따라 크게 변화되는 몇 가지 중요한 사항을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제일 궁금한 것은 바로 개정된 전압 체계이지 않을까 싶은데요. 현행 및 개정안에 따라 저압, 고압, 특고압을 나누는 기준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한국전기설비규정 KEC의 탄생 2021년, 3년의 유예기간 끝에 국내 전기설비규정이 변화합니다. 전기설비기준의 국제화와 신기술 도입 등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2021년 1월 1일부로 한국전기설비규정(KEC, Korea Electro-technical Code)이 도입되는 것이죠. 지금까지 IEC 국제표준과는 다르게 운영되던 규제사항을 해소하고 환경 변화에 따른 안전성과 신뢰성을 높이려는 목적입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전압 체계 규정, 전선 색상 식별 규정, 접지시설 규정 등이 있는데, 주목해볼 것은 바로 전압 체계의 변화입니다.

44년 만에 개편된 새로운 전압 체계 현재까지 우리는 1974년에 편성된 전압 체계를 계속 사용해왔습니다. 저압 DC 750V 이하/ AC 600V 이하, 고압 DC 750V 초과 7,000V 이하/ AC 600V 초과 7,000V 이하, 특고압 7,000V 초과로 범위가 설정되어 있었습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렸듯이 한국전기설비규정 도입으로 전압을 분류하는 범위가 변화하였는데요. 바뀌는 전압 체계는 저압 DC 1,500V 이하/ AC 1,000V 이하, 고압 DC 1,500V 초과 7,000V 이하/ AC 1,000V 초과 7,000V 이하, 특고압 7,000V 초과입니다. 눈에 띄는 것이 바로 저압과 고압의 경계가 변경되었다는 것입니다. 정확히는 그 경계가 늘어나 저압 범위가 확대된 것입니다. 그렇다면 전압체계는 왜 변경되었으며, 저압의 범위는 왜 늘어난 것일까요? 핵심은 역시 저압 범위의 확대입니다. 이번 개정으로 그동안 고압으로 분류된 DC 750~1,500V, AC 600~1,000V 범위가 앞으로는 저압으로 분류됩니다. 발전설비가 고압으로 분류될 경우, 이에 맞는 시험과 인증을 별도로 받아야 하고 계약조건도 까다로웠습니다. 이 때문에 신재생에너지 관련 중소업체들은 기존 저압 범위 내에서만 사업을 추진한 것입니다. 이렇게 기존 저압 범위 이내로만 발전설비를 운영할 경우, 발전효율이 떨어지고 시설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는데도 말이죠. 하지만 이번 개정을 통해 저압의 범위가 확대되어 더 높은 전압의 발전시설도 저압으로 분류됩니다. 저압설비를 통해서도 발전효율을 올릴 수 있으며, 시설비용과 중복시험에 대한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신재생에너지 관련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과 더불어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의 활성화가 기대됩니다. 또한, 국제표준에 따른 전압 구분으로 인해 국내 업체의 해외시장 진출 확대와 그에 따른 기술개발을 도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존에는 국내 업체에만 요구되는 별도의 시험 및 성적서에 대한 부담 등 수출에 제한 사항이 있었지만, 앞으로는 이런 문제가 개선될 수 있는 것이죠.

이번 개정으로 인해 주의해야 할 점 한국전기설비기준(KEC)은 지난 2018년 3월 공고된 이후, 약 3년의 유예기간 끝에 2021년 1월 1일부로 적용됩니다. 기존 규정이 워낙 오래 자리 잡혀있었기 때문에 유예기간에도 이를 숙지하지 못한 분들이 많을 것으로 생각되는데요. 산업현장에서 일하시는 현직자분들과 국가기술자격시험을 준비하는 분들의 주의가 필요할 것입니다. 최근 발표된 2021년 전기기사 출제기준을 보시면, 5번째 필기 과목명이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 기준’으로 이전과 동일하게 되어있는데요. 이는 필기 과목명을 변경하는데 일련의 과정이 있어서 아직 바뀌지 못한 것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필기 과목명은 그대로지만 2021년도 시험부터는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한국전기설비규정’에 대한 새로운 내용을 공부해야 하는 것이죠. 이렇게 당장 내년부터 헷갈릴 수 있는 사항들에 대해서는 숙지할 필요가 있을 것입니다.

기사출처 – https://blog.kepco.co.kr/1909?category=1063221

한국전력 제7기 전기사랑기자단(김 장 엽) @저작권 표시 @비영리 @ 변경금지

@ https://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nd/4.0/deed.ko

저압 고압 특 고압 | 2021년부터 전압이 바뀝니다 59 개의 자세한 답변

We are using cookies to give you the best experience on our website.

You can find out more about which cookies we are using or switch them off in settings.

전압체계 44년만에 개편…”저압 범위 확대로 신재생 확산”

(서울=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국내 전압체계가 중소 신재생 발전사업에 유리하도록 44년 만에 개편됐다.

그간 소규모 신재생 사업에 걸림돌로 지적된 저압 범위가 확대돼 관련 업체가 불필요한 시험·비용 부담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된 것이다.

12일 대한전기협회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DC(직류) 750V 이하, AC(교류) 600V 이하로 정의된 저압 범위를 국제표준(IEC)에 맞춰 DC 1천500V, AC 1천V 이하로 확대하는 내용의 전기사업법 시행규칙 개정(안)을 확정했다.

광고

이에 따라 고압 범위는 현행 DC 750V 초과 7천V 이하, AC 600V 초과 7천V 이하에서 각각 DC 1천500V 초과 7천V 이하, AC 1천V 초과 7천V 이하로 각각 조정된다.

이번에 개정된 전압체계는 3년의 유예기간을 거쳐 2021년 1월1일부터 시행된다.

1974년에 편성된 현재 전압체계는 저압·고압·특고압 등 3단계로 구성됐다.

발전설비, 기자재 등이 고압 이상으로 분류되면 그에 맞는 시험·인증 등을 별도로 받아야 하고 계약 조건도 까다롭다.

이 때문에 생산단가에 민감한 신재생 관련 중소업체들은 저압 범위 내에서 주로 사업을 추진했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발전효율이 떨어지고 시설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또 국내 전압체계가 IEC와 달랐기 때문에 외국산 제품을 도입하려면 별도 시험성적서도 필요했다. 성적서를 발급받으려면 추가로 비용과 시간을 들여야 한다.

전기협회 관계자는 “이번 개정으로 저압설비를 통해서도 발전효율을 끌어올릴 수 있게 됐다”며 “시설과 중복시험 관련 비용이 줄어듦에 따라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활성화와 해외 시장 진출 확대는 물론 관련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도 도모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표] 전기사업법 시행규칙상 전압체계(제2조)

구분 현행 개정 저압 DC 750V 이하 DC 1500V 이하 AC 600V 이하 AC 1000V 이하 고압 DC 750V 초과 7000V 이하 DC 1500V 초과 7000V 이하 AC 600V 초과 7000V 이하 AC 1000V 초과 7000V 이하 특고압 7000V 초과 7000V 초과

송전탑 [연합뉴스 자료사진]

[email protected]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키워드에 대한 정보 저압 고압 특 고압

다음은 Bing에서 저압 고압 특 고압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법규개정] 전압체계가 바뀝니다.

  • 한국전기설비규정
  • 전기설비기술기준
  • 다산에듀
  • 전병칠
  • 전기기능사
  • 저압
  • 고압
  • 특별고압
  • 전압체계
  • 전기사업법
[법규개정] #전압체계가 #바뀝니다.


YouTube에서 저압 고압 특 고압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법규개정] 전압체계가 바뀝니다. | 저압 고압 특 고압,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