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성 한계 시험 | 액성한계시험 인기 답변 업데이트

당신은 주제를 찾고 있습니까 “액성 한계 시험 – 액성한계시험“? 다음 카테고리의 웹사이트 https://ppa.khunganhtreotuong.vn 에서 귀하의 모든 질문에 답변해 드립니다: https://ppa.khunganhtreotuong.vn/blog/. 바로 아래에서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작성자 더블드래곤시험실 이(가) 작성한 기사에는 조회수 21,143회 및 좋아요 147개 개의 좋아요가 있습니다.

액성 한계 시험 주제에 대한 동영상 보기

여기에서 이 주제에 대한 비디오를 시청하십시오. 주의 깊게 살펴보고 읽고 있는 내용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세요!

d여기에서 액성한계시험 – 액성 한계 시험 주제에 대한 세부정보를 참조하세요

건설재료시험기사 작업형 실기 액성한계시험

액성 한계 시험 주제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조하세요.

체분석, 액소성한계시험

액성한계 시험은 흙의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최소의 함수비를 말. 하며 KSF2303에서는 황동접시에 경사 60도, 높이 1cm의 인공사. 면을 조성한 후에 시료를 넣는 접시를 1cm …

+ 여기에 더 보기

Source: www.gpc.ac.kr

Date Published: 1/29/2022

View: 7105

아터버그 한계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액체상태, 액성한계, 액체상태와 소성상태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LL, liqu limit), KS F 2304 액성한계 시험, 1cm높이의 황동접시를 1초간 2회의 비율로 25회 떨어 …

+ 더 읽기

Source: ko.m.wikipedia.org

Date Published: 5/25/2021

View: 4274

흙의 액성한계 시험 (KS F 2303 : 2000)

흙의 액성한계 시험. 1. 목 적 : 외력에 전단저항력이 0 이 되는 최소의 함수비를 구하기 위함. 2. 시험빈도 : 필요시 마다. 3. 시험규정 : KS F 2303 …

+ 더 읽기

Source: civileng7.tistory.com

Date Published: 12/14/2022

View: 8011

액성한계시험 레포트 – 자연/공학

1.1 시험의 개요세립토는 함수비의 변화에 따라 고체 상태로부터 반고체 상태 소성 상태 액체 상태로 … 액성한계는 입자의 치수는 물론 흙의 화학성분과 광물성분 입자.

+ 여기에 자세히 보기

Source: www.reportshop.co.kr

Date Published: 9/22/2022

View: 3029

Atterberg의 한계와 시험에 관하여 – KH 건설

실려 있는 내용 중 ‘실내토질시험’ 부분에 ‘액성한계시험’과 ‘소성한계시험’에 대하여, 과연 이 시험 항목이 어떻게 시행되며, 각 값은 어떠한 의미를 …

+ 여기를 클릭

Source: khent.co.kr

Date Published: 12/21/2021

View: 3263

[공학] 흙의 액성, 소성한계 시험 – KS F 2303기타실험결과

액성한계를 토질시험으로 결정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흙을 액성한계 측정용 접시에 넣고 주어진 홈파기 기구로 홈을 판 다음 , 그 접시를 1cm …

+ 여기에 표시

Source: areport.iwinv.net

Date Published: 2/27/2021

View: 250

주제와 관련된 이미지 액성 한계 시험

주제와 관련된 더 많은 사진을 참조하십시오 액성한계시험. 댓글에서 더 많은 관련 이미지를 보거나 필요한 경우 더 많은 관련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

액성한계시험
액성한계시험

주제에 대한 기사 평가 액성 한계 시험

  • Author: 더블드래곤시험실
  • Views: 조회수 21,143회
  • Likes: 좋아요 147개
  • Date Published: 2019. 11. 14.
  • Video Url link: https://www.youtube.com/watch?v=5AjAWsSgQJs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흙의 상태 아터버그 한계 정의 시험법 시험규정

액체상태 액성한계 액체상태와 소성상태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LL, liquid limit) KS F 2304 액성한계 시험 1cm높이의 황동접시를 1초간 2회의 비율로 25회 떨어뜨렸을 때, 양분된 부분의 흙이 양측으로부터 흘러내려 1.5cm의 길이로 합쳐졌을때의 함수비

소성상태

소성한계 소성상태와 반고체상태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PL, plastic limit) KS F 2304 소성한계 시험 흙을 손바닥으로 굴려서 지름 3mm의 줄 모양으로 늘였을 때 막 잘라지려는 상태가 되었을 때의 함수비

반고체상태

수축한계 반고체상태와 고체상태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SL, shrinkage limit) KS F 2305 수축한계 시험 함수량을 감소시키면 흙의 용적이 줄지 않고, 함수량이 증가하면 흙의 용적이 증가하는 상태의 함수비

흙의 액성한계 시험 (KS F 2303 : 2000)

반응형

흙의 액성한계 시험

1. 목 적 : 외력에 전단저항력이 0 이 되는 최소의 함수비를 구하기 위함

2. 시험빈도 : 필요시 마다

3. 시험규정 : KS F 2303 : 2000

4. 시험방법

가. 시료준비

1) 425㎛체를 통과하는 것으로 약200g 정도(KSF2301참조) 준비한다(노건조시료)

2) 건조된 시료에 증류수를 조금씩 가하여 충분히 반죽한 후 증발을 막으면서 10여 시간 방치한다.

나. 시험순서

1) 측정기의 황동접시에 최대두께가 약 1㎝가 되도록 넣고,

2) 홈파기날을 황동접시의 밑에 직각으로 놓고 캠의 끝을 중심선을 통과하는 지름에 따라 시료를 둘로 나눈다.

3) 황동접시를 고무판에 설치하여 1초에 2회의 비율로 황동접시를 들어서 떨어뜨린다.

4) 홈의 밑부분의 흙이 약1.5㎝가 합류 할 때까지 이 조작을 계속한다.

5) 홈의 밑부분이 맞닿을 때의 황동접시의 낙하횟수를 기록하여 합류된 홈의 주위로부터 시료를 샘플링하여 함수비를 구한다

6) 시료에 증류수를 가하여 이것을 1)~5)까지 반복하는데, 이때 낙하횟수 25~35호의 것 2개, 10~25호의 것 2개가 얻어지도록 한다.

(흙의 함수량을 적은상태에서부터 많아지는 쪽으로 실시한다)

7) 반대수 용지의 대수눈금에 낙하횟수를, 산술눈금에 함수비를 기록하여 이들점에 가까운 직선을 구하고 이를 유동곡선이라 한다.

8) 유동곡선에서 낙하횟수25회에 해당되는 함수비를 액성한계로 한다.

9) 액성한계를 위 시험방법으로 구할수 없을 때는 NP(non-plastic)로 한다.

반응형

액성한계시험 레포트

저작권 관련 사항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레포트샵은 보증하지 아니하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됩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시 고객센터 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이메일 무단수집 거부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3년 4월 2일]

애플레포트✔[공학] 흙의 액성, 소성한계 시험 – KS F 2303기타실험결과 – Apple Report

내가 원하는 레포트 찾기 ->

글 맨 아래 ” 같은 주제의 다른 레포트 보러가기” 버튼 클릭

희귀 A+ 자료 최대 보유! 애플레포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레포트 작성하는데 하루를 다 보내셨나요?

그럴 필요 없어요 : )

레포트 다운로드: [공학] 흙의 액성, 소성한계 시험 – KS F 2303.hwp

[size : 40 Kbyte] 흙의 액성, 소성한계시험(KS F 2303)■ 목차 ■서론이론적배경실험목표이론적배경관련공식본론시험기구시험방법실험 시 주의사항결론실험값실험값 계산과정적용사례고찰참고문헌서 론

1.1 이론적 배경

액성한계를 토질시험으로 결정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흙을 액성한계 측정용 접시에 넣고 주어진 홈파기 기구로 홈을 판 다음 , 그 접시를 1cm높이로부터 1초에 2회의 비율로 25회 낙하시켰을 때 홈 양쪽에 있는 흙이 약 1.5cm 합쳐졌을 때의 함수비를 액성한계()라고 한다. 액성한계가 구하여 졌다면 소성지수도 계산에 의하여 얻어진다. 소성한계는 반고체 상태와 소성 상태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를 말한다. 흙덩어리를 굴려서 지름 3mm 가 되어 토막토막 부서지기 시작할 때의 함수비를 재면 이것이 곧 소성한계이다.

1.2 실험 목표

일반적으로 흙 지반은 물과…

흙의 액성, 소성한계시험

(KS F 2303)

■ 목차 ■

서론

이론적배경

실험목표

이론적배경

관련공식

본론

시험기구

시험방법

실험 시 주의사항

결론

실험값

실험값 계산과정

적용사례

고찰

참고문헌

서 론

1.1 이론적 배경

액성한계를 토질시험으로 결정할 때에는 다음과 같이 한다. 흙을 액성한계 측정용 접시에 넣고 주어진 홈파기 기구로 홈을 판 다음 , 그 접시를 1cm높이로부터 1초에 2회의 비율로 25회 낙하시켰을 때 홈 양쪽에 있는 흙이 약 1.5cm 합쳐졌을 때의 함수비를 액성한계()라고 한다. 액성한계가 구하여 졌다면 소성지수도 계산에 의하여 얻어진다. 소성한계는 반고체 상태와 소성 상태의 경계가 되는 함수비를 말한다. 흙덩어리를 굴려서 지름 3mm 가 되어 토막토막 부서지기 시작할 때의 함수비를 재면 이것이 곧 소성한계이다.

1.2 실험 목표

일반적으로 흙 지반은 물과 공기 그리고 흙 입자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흔히 삼상의

물질이라고 한다. 자연 상태의 흙은 함수량의 차이에 따라서 공학적 성질이 매우 크게

다르기 때문에, 흙의 함수비를 파악하는 것은 흙의 공학적인 판단(구조물의 설계, 시공

조건의 결정, 다짐기계 선정 시 등)을 위해 중요하고 이는 토질시험의 기본이 된다

이 값들이 설계에 직접 이용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 설계에 쓰이는 중요한 계수를 이 값

들과 관련시켜 만들어낸 경험공식은 더러 있다. 경험이 많은 기술자는 액성한계와 소성

지수의 값만 알아도 그 흙의 공학적 성질을 대략 추정할 수 있으므로 이 값들을 실험실

에서 정확히 결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소성한계실험은 흙의 컨시스턴시 중

소성한계를 구하기 위하여 행하는 것으로 동시에 액성한계가 구해지게 되면 소성지수로

계산에 의하여 얻어진다. 소성한계는 소성도를 이용한 세립토의 판별분류와 흙의 공학적

성질의 추정 등에 이용된다.…(생략)

1.3 이론적 배경

액성한계는 흙이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최소의 함수비를 말하며 KS F2303 에서는 ‘황동접시에 경사 60°, 높이 1cm 의 인공사면을 조성한 후에 시료를 넣은 접시를 1cm의 높이에서 1초에 2회의 비율로 25회 낙하시켰을 때에 둘로 나뉜 부분의 흙이 양측으로부터 유동하여 약 1.5cm의 길이로 합류했을 때의 함수비’ 라고 정의되어 있다. 액성한계(WL)와 소성한계(WP)와의 차를 소성지수라 한다. 소성지수는 흙의 소성의 정도를 나타낸다. 즉,

PI = WL – WP

유동곡선의 기울기를 유동지수(Flow Index, If )라 한다. 유동지수를 구할 때에는 유동곡선을 연장하는 예를 들면, 낙하횟수 4와 40 혹은 5와 50 등과 같이 사이클 을 달리하는 낙하횟수에 대응하는 함수비의 차를 취하면 된다.

소성한계는 흙의 소성 상태와 반고체 상태의 한계를 나타낸 함수비를 말하고 KSF에서는

‘흙덩어리를 굴려서 직경 3mm의 끈 모양으로 했을 때 토막토막 끊어지려고 할 때 의 함

수비’ 라고 정의 되어 있다.

소성지수는 액성한계와 소성한계의 차이를 말하며, 반죽된 세립토가 소성을 보이는 함수

비의 범위를 나타내는 지수이다.

PI = LL – PL

소성한계(PL), 자연함수비 19%()이면

.

· 액성한계() =

· 유동지수()= 유동곡선의 기울기 와 같다.

· 소성지수() =

· 액성지수 =

· 연경지수() =

액성지수는 자연 상태의 함수비와 소성한계의 차를 소성지수로 나눈 값으로 흙이 자연 상태에서 함유하고 있는 함수비의 정도를 표시하는 지수이다.

1.4 관련공식

액성한계를 기준하여 Terzaghi & Peck (1967)이 발표한 식은 다음과 같다.

교란 시료 :

불교란 시료 :

여기서, : 압축지수

: 액성한계

소성한계는 반고체 상태로부터 소성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함수비를 말한다.() 흙의 소성지수 는 흙의 액성한계 와 소성한계 와의 차를 말하며 다음 식에서 구한다.

다만, 다음의 경우는 비소성(NP)의 기호로 표시한다.

① 소성한계를 구할 수 없는 경우

② 소성한계가 액성 한계와 같던지 또는 소성한계가 액성한계 보다 큰 경우

2 이하의 점토의 중량백분율에 대한 소성지수 의 비를 활성도라 한다.

활성도(A) =

A < 0.75 (비활성) 0.75 < A < 1.25 (보통) A > 1.25 (활성)

본 론

2.1 시험 기구

1) 공통 시험 기구

① 40번체를 통과한 시료

② 함수량 측정 기구

③ 막자와 막자사발

④ 알루미늄 용기

⑤ 시료 pan

⑥ 증발 접시

⑦ 스페츌러

⑧ 분무기

⑨ 수건

2) 액성한계

① 액성한계 시험기구 ( 황동제 컵, 고정대, 홈파기 날)

3) 소성한계

① 유리판 (물기제거를 위해 서리유리 사용)

② 3mm 철사

2.2 시험방법

1) 소성한계실험

(1) 시료를 준비한다.

(2) 시료를 덩어리가 쉽게 만들어질 때 까지 물을 가하면서 반죽한다.

(3) 반죽한 시료를 손바닥과 유리판 사이에 넣고 문질러 직경 3mm 정도의( 볼펜

심 정도 두께 ) 국수 모양으로 만든다.

(4) 3mm 정도의 국수 모양의 표면이 건조하여 갈라지는 정도가 소성한계이다.

(* 부서지지 않으면 재시험한다.)

(5) 함수비를 측정한다. 이때의 함수비가 소성한계이다.

2) 액성한계시험

(1) 황동접시와 고무대 사이를 정확히 1cm로 조절한다.

(2) 마른 용기(CAN)의 자중 Wc(gf)을 측정한다

(2) 자연함수비로 공기 건조한 시료를 분무기를 통해 살수하면서 잘 혼합한다.

(3) 반죽한 흙을 황동 접시에 담아 최대 두께가 약 1cm되도록 잘 고른다.

(4) 접시의 대칭축을 따라 홈파기 날을 수직으로 세워 홈을 파서 접시 속의 흙을 양쪽으로 가른다.

(5) 액성한계측정기의 손잡이를 1초 동안에 2회의 속도로 회전시켜 흙을 담은 접시를 판에 떨어뜨린다.

(6) 홈의 밑부분에 있는 흙이 약 1.5 cm정도 합류할 때의 낙하회수를 구한다.

(7) 합쳐진 부분(접촉부 양쪽의 흙)에서 시료를 채취하여 함수비를 측정한다.

(8) 낙하회수 10~25회의 것 2개 , 25~35회의 것 2개가 얻어지도록 시료에 물을 첨가하여 함수비를 바꾸며 (1)~(8) 의 조작을 반복한다.

2.3 실험 시 주의사항

1) 액성한계시험에서 낙하고가 정확히 1cm 되게 조정한다.

2) 황동제 컵에 반죽된 흙을 떠서 담을 때, 깊은 곳의 시료가 1cm 이 되도록 담는다.

3) 홈파기 날로 긁어낼 때, 천천히 힘을 주어서 한 번에 긁어낼 수 있도록 한다.

4) 소성한계시험에서 원래는 PL-Test 전용 유리판이 있지만 우리는 편의상 물기 제거를 위해 서리 유리판을 사용하고 실험 시 깨지 않도록 주의 한다.

결 론

3.1 실험 값

액 성 한 계 , LL

시 험 번 호

액 7-1

액 7-2

액 7-3

액 7-4

액 7-5

낙하횟수

46

34

27

24

18

용기의무게

18.55

14.31

18.92

14.32

18.65

(습윤시료+용기)의무게

38.07

44.45

44.84

34.05

44.40

(건조시료+용기)의무게,

32.2

38.0

38.3

29.0

37.8

건조시료의 무게,

13.65

23.69

19.38

14.68

18.65

함수량,

5.87

6.45

6.54

5.05

6.6

함수비,

43.00

27.23

33.75

34.40

44.26

소 성 한 계 , PL

시 험 번 호

소 7-1

소 7-2

소 7-3

용기의무게,

19.9

14.06

20.57

(습윤시료용기)의무게,

24.12

20.43

25.8

(건조시료용기)의무게,

23.30

19.30

24.9

건조시료의무게,

3.40

5.24

4.33

함수량,

0.82

1.13

0.90

함수비 ,

24.12

21.56

20.79

소성한계, PL = 22.16%

3.2 실험 값 계산 과정

1)액성한계 시험

① 함수량 측정

: (젖은 흙 + 용기)의 무게

: (마른 흙 + 용기)의 무게

: 함수 량

② 마른 흙의 무게 측정

: (마른 흙 + 용기)의 무게

: 용기의 무게

: 마른 흙의 무게

③ 함수 비 측정

: 함수 량

: 마른 흙의 무게

: 함수 비

2) 소성한계 시험 – 액성한계 실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계산한다.

3.3 적용사례

1)액성한계실험

액성한계는 흙을 공학적으로 분류하는 데 널리 이용되며, 때로는 세립토의 종류를 판별

하는 데 쓰인다. 이 값들이 설계에 직접 이용되는 경우는 드물지만 , 설계에 쓰이는 중

요한 계수를 이 값들과 관련시켜 직접적으로 구할 수 있다. 경험이 많은 기술자는 액성

한계와 소성지수의 값만 알아도 그 흙의 공학적 성질을 대략 추정할 수 있으므로 이 값

들을 실험실에서 정확히 결정하는 것은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액성한계는 세립토의 판별분류 및 공학적 성질을 판단하는 데에 이용된다. 액성한계시

험의 결과는 소성한계시험의 결과 얻어진 소성지수와 함께 흙의 분류에도 이용된다.

(1) 압축 지수의 추정

흙의 입자 지름이 작게 될수록 표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액성한계 값도 크게 된다. 즉,

액성 한계가 큰 흙은 지반으로서의 압축성이 큰 것이라 예상할 수 있다. 스켐톤은 압축

지수를 액성 한계에 의하여 추정할 수 있음을 나타냈다.

Cc=1.3C`c=0.009(wL-10)

여기서, Cc : 교란되지 않은 시료의 압축 지수

C`c : 교란된 시료의 압축 지수

이 식은 예민비가 낮은 정규 압밀 점토에 적용하는 것이 원칙이고, 유기물을 다량으로

포함한 흙, 액성한계>100% 또는 자연함수비>액성한계 등 점토 광물의 조성이 현저하게

특수한 흙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2) 유동지수, 터프니스 지수, 컨시스턴시 지수 및 액성 지수, 활성도, 소성도 등과

도 관련이 있다.

(3) 액성 한계는 세립토를 판별 분류 및 공학적 성질을 판단하는 데 이용된다.

2) 소성한계 시험

(1)도로 노반 재료의 선택

– 사질토는 액성한계와 소성지수가 점토보다는 작다. 따라서 큰 강도가 필요한 도로

의 노반 재료 및 각종 안정처리를 하는데 사용하는 골재의 적부를 결정하는데 소성

지수를 사용하여 규제하고 있다.

공정

토공

포장공

상부노상

하부노상

뒷채음

선택층

보조기층

소성지수

10이하

30이하

10(상부)이하

20(하부)이하

10이하

6이하

3.4 고찰

우선은 액성한계 시험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분무기로 물을 조금씩 첨가하면서 함수비를 구해 내는데 황동제 컵에서 1cm 두께로 만드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만드는 사람, 만드는 그때 그때에 따라 깊이 1cm 에는 많은 차이가 보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홈파기 날로 홈을 파는 과정에서도 일정한 넓이로 파는 것이 어려웠고 1cm 1.5cm 붙을 경우 따내어 값을 측정하여 함수비를 구하는데 수치라는 것이 어림직잠으로 보는 것이라 개별적 판단에 의한 오차가 꽤 발생했을 것입니다. 소성한계 시험 과정에서는 3mm라는 두께 그리고 표면 균열이란 것을 측정하는 것은 눈으로였습니다. 여기서도 개별적 판단이 은연 중 오차를 발생할 수 있는 요인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희 같은 경우에는 액성의 다섯 번의 실험 중, 첫 번째 시험의 결과만이 타격 횟수가 감소함에 따라 증가하는 함수비를 가진 나머지 네 시험과 너무 많은 차이를 보였습니다. 그래서 결과 값을 내는 과정에서 첫 번째 실험을 제외한 나머지 네 시험으로 결과값을 산출해내었습니다. 그래서 저희는 액성한계 34.6%, 소성한계 22.16% 의 값을 얻을 수 있었고 그래프로 확인하면 오차량이 꽤 많은 것으로 확인되는데 그래도 그래프를 보고 값을 측정 한다면 25회 타격시 약 32.5% 정도의 값을 측정해 낼 수 있었습니다.

실험 내내 오차가 발생할 만 한 곳이 너무 많았던 것 같다. 거의 대부분이 눈으로 간단히 측정하여 실험을 계속 진행하는 것이라 너무 어려웠던것 같고 실험을 하기 전에는 뚜렷하게 개념이 잡히지 않았던 것이 실험을 통해 확실히 소성상태로부터 액성상태로 변하는 순간의 함수비를 액성한계라 하고 최소 함수비라는 것과 소성한계는 흙의 소성상태와 반고체상태의 경계를 나타내는 것이란 것을 좀 더 확실히 알게 되었다. 실험 결과를 산출하고 보니 약간은 잘못된 실험을 실시 한 것 같아 다음부터는 실험을 하는 과정에서 오차를 줄일 수 있도록 더욱 열심히 실험에 임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3.5 참고문헌

1) 토질역학. Braja M.Das 저. ( 사이텍 미디어 )

2) 지반공학 시험법 및 응용. 김용필 외 2명 저. ( 세진사 )

키워드에 대한 정보 액성 한계 시험

다음은 Bing에서 액성 한계 시험 주제에 대한 검색 결과입니다. 필요한 경우 더 읽을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인터넷의 다양한 출처에서 편집되었습니다. 이 기사가 유용했기를 바랍니다.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사람들이 주제에 대해 자주 검색하는 키워드 액성한계시험

  • 동영상
  • 공유
  • 카메라폰
  • 동영상폰
  • 무료
  • 올리기

액성한계시험


YouTube에서 액성 한계 시험 주제의 다른 동영상 보기

주제에 대한 기사를 시청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액성한계시험 | 액성 한계 시험, 이 기사가 유용하다고 생각되면 공유하십시오, 매우 감사합니다.

See also  네일 아트 자격증 | [네일의 시간] 제 1과제 습식 매니큐어 프렌치 30분⏱ 시험 실전 연습하기!!, 네일아트 국가자격증 같이 준비해요!ㅣ네일아트, 국가자격증, 실습영상 20040 명이 이 답변을 좋아했습니다

Leave a Comment